RNN, LSTM, Seq2Seq 모델

KangHo Lee's avatar
Jun 27, 2025
RNN, LSTM, Seq2Seq 모델

순환 신경망의 진화: RNN에서 Seq2Seq까지

  • 시퀀스 데이터를 다루는 딥러닝의 세계에서,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s)은 혁신적인 발전을 이루어왔습니다.
  • 단순한 텍스트 처리부터 복잡한 언어 번역까지, 이 기술들이 어떻게 진화해왔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기억을 가진 신경망

RNN이란 무엇인가?

  • 기존의 신경망은 각 입력을 독립적으로 처리했습니다. 하지만 "나는 오늘 아침에 커피를 마셨다"라는 문장을 생각해보세요. 각 단어의 의미는 앞선 단어들과의 관계에서 결정됩니다. RNN은 바로 이런 순차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 RNN의 핵심은 메모리입니다. 이전 시점의 정보를 기억하고 현재 입력과 함께 처리하여 출력을 생성합니다.

RNN의 구조와 작동 원리

입력: [x₁, x₂, x₃, x₄, ...] ↓ ↓ ↓ ↓ RNN: [h₁] → [h₂] → [h₃] → [h₄] → ... ↓ ↓ ↓ ↓ 출력: [y₁, y₂, y₃, y₄, ...]
각 시점에서 RNN은:
  1. 현재 입력 x_t를 받습니다
  1. 이전 은닉 상태 h_{t-1}와 결합합니다
  1. 새로운 은닉 상태 h_t를 계산합니다
  1. 출력 y_t를 생성합니다

RNN의 활용 분야

  • 감정 분석: "이 영화는 정말 재미있어요" → 긍정
  • 주가 예측: 과거 주가 데이터로 미래 가격 예측
  • 음성 인식: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
  • 언어 모델링: 다음에 올 단어 예측

RNN의 한계: 기울기 소실 문제

  • RNN의 가장 큰 문제는 **기울기 소실(Gradient Vanishing)**입니다. 긴 시퀀스에서 초기 정보가 점점 희석되어 장기 의존성을 학습하기 어려워집니다.
  •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 태어나고 자란 나는... (중간에 긴 문장들) ...유창한 프랑스어를 구사한다"에서 '프랑스'와 '프랑스어' 사이의 연관성을 학습하기 어렵습니다.

2. LSTM (Long Short-Term Memory): 선택적 기억의 마법

LSTM의 탄생 배경

  • 1997년 Hochreiter와 Schmidhuber가 제안한 LSTM은 RNN의 기울기 소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 핵심 아이디어는 선택적으로 정보를 기억하고 잊는 것입니다.

LSTM의 핵심 구조: 3개의 게이트

LSTM은 세 개의 게이트로 정보 흐름을 제어합니다:

1) Forget Gate (망각 게이트)

"무엇을 잊을 것인가?"
  • 이전 셀 상태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
  • σ(시그모이드) 함수로 0~1 사이 값 출력

2) Input Gate (입력 게이트)

"새로운 정보 중 무엇을 저장할 것인가?"
  • 새로운 정보의 중요도를 결정
  • 후보 값들 중에서 셀 상태에 추가할 정보를 선택

3) Output Gate (출력 게이트)

"셀 상태를 바탕으로 무엇을 출력할 것인가?"
  • 최종 출력값을 결정
  • 다음 시점으로 전달할 은닉 상태를 생성

LSTM의 작동 과정

1. 망각: 이전 정보 중 불필요한 것 제거 C_{t-1} × f_t → 필터링된 과거 정보 2. 저장: 새로운 중요한 정보 추가 필터링된 과거 정보 + 새로운 정보 → C_t 3. 출력: 현재 상태를 바탕으로 출력 생성 C_t × o_t → h_t (은닉 상태)

LSTM vs RNN: 성능 비교

측면
RNN
LSTM
장기 의존성
약함
강함
기울기 소실
심각
완화
계산 복잡도
낮음
높음
메모리 사용량
적음
많음
학습 속도
빠름
느림

LSTM의 실제 적용 사례

  • Google 번역: 문맥을 이해한 번역 품질 향상
  • Siri, Alexa: 음성 명령의 정확한 이해
  • 주식 분석: 장기 트렌드를 고려한 예측
  • 챗봇: 대화 맥락을 유지한 응답 생성

3. Seq2Seq (Sequence-to-Sequence): 시퀀스 변환의 혁신

Seq2Seq가 해결하는 문제

  • 기존 RNN과 LSTM은 입력과 출력의 길이가 같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문제들은 다릅니다:
    • 번역: "Hello" (1단어) → "안녕하세요" (1단어) ✓
    • 요약: 긴 문서 → 짧은 요약문
    • 질의응답: 질문 → 답변 (길이가 다를 수 있음)
  • Seq2Seq는 임의 길이의 입력을 임의 길이의 출력으로 변환하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Seq2Seq의 구조: Encoder-Decoder

  • Seq2Seq는 두 개의 RNN(또는 LSTM)로 구성됩니다:
Encoder: 입력 시퀀스 → 고정 크기 벡터 (Context Vector) Decoder: Context Vector → 출력 시퀀스

Encoder (인코더)

  • 입력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임
  • 마지막 은닉 상태가 전체 입력의 의미를 담은 Context Vector가 됨
  • 입력: [단어1, 단어2, 단어3] → 출력: [고정 크기 벡터]

Decoder (디코더)

  • Context Vector를 초기 상태로 받음
  • 출력 시퀀스를 한 단어씩 생성
  • 이전에 생성한 단어를 다음 입력으로 사용 (Teacher Forcing)

Seq2Seq의 학습 과정

1) 학습 단계 (Teacher Forcing)

입력: "How are you?" 목표: "어떻게 지내세요?" Encoder: "How are you?"Context Vector Decoder: Context Vector + "<start>""어떻게" Context Vector + "어떻게""지내세요" Context Vector + "지내세요""?" Context Vector + "?""<end>"

2) 추론 단계

입력: "How are you?" Encoder: "How are you?"Context Vector Decoder: Context Vector + "<start>""어떻게" (생성) Context Vector + "어떻게""지내세요" (생성) Context Vector + "지내세요""<end>" (종료)

Seq2Seq의 혁신적 응용

1) 기계 번역

  • Google Neural Machine Translation (GNMT)
  • 영어→한국어: "I love programming" → "나는 프로그래밍을 좋아합니다"
  • 문맥을 고려한 자연스러운 번역

2) 챗봇과 대화 시스템

  • 입력: "오늘 날씨가 어때?"
  • 출력: "오늘은 맑고 따뜻한 날씨입니다"

3) 텍스트 요약

  • 긴 뉴스 기사 → 핵심 내용 3-4줄 요약
  • 논문 초록 자동 생성

4) 이미지 캡셔닝

  • 이미지 → "해변에서 개가 뛰어노는 모습"
  • CNN(Encoder) + RNN(Decoder) 결합

Seq2Seq의 한계와 개선

주요 한계

  1. 정보 병목: 모든 정보를 하나의 Context Vector에 압축
  1. 긴 시퀀스 처리 어려움: 입력이 길수록 정보 손실
  1. OOV 문제: 학습에 없던 단어 처리 어려움

개선 방안

  • Attention Mechanism: 디코더가 입력의 특정 부분에 집중
  • Beam Search: 더 나은 출력 시퀀스 탐색
  • Copy Mechanism: 입력에서 단어를 직접 복사

세 기술의 비교와 발전사

발전 단계

RNN (1986) → LSTM (1997) → Seq2Seq (2014) → Transformer (2017)

각 기술의 특징 비교

특징
RNN
LSTM
Seq2Seq
주요 혁신
순차 처리
선택적 기억
길이 독립적 변환
강점
간단, 빠름
장기 의존성
유연한 입출력
약점
기울기 소실
복잡함
정보 병목
대표 응용
언어 모델
음성 인식
기계 번역

현실 세계에서의 활용

1. 산업 현장

  • 금융: 주식 가격 예측, 리스크 분석
  • 의료: 환자 기록 분석, 진단 보조
  • 제조: 품질 관리, 예측 유지보수

2. 일상 생활

  • 스마트폰: 음성 인식, 자동 완성
  • 소셜 미디어: 감정 분석, 콘텐츠 추천
  • 온라인 쇼핑: 상품 추천, 리뷰 분석

미래 전망과 결론

기술의 진화

  • RNN에서 시작된 순환 신경망 기술은 LSTM으로 발전하며 장기 의존성 문제를 해결했고, Seq2Seq로 확장되어 다양한 시퀀스 변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Transformer와의 관계

  • 현재는 Attention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Transformer가 많은 영역에서 RNN 계열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 그럼에도 RNN의 기본 개념과 LSTM의 게이트 메커니즘, Seq2Seq의 Encoder-Decoder 구조는 여전히 많은 현대 모델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핵심 인사이트

  1. 순차성의 중요성: 데이터의 순서가 중요한 모든 문제에 적용 가능
  1. 선택적 정보 처리: 중요한 정보는 기억하고 불필요한 정보는 잊는 메커니즘
  1. 유연한 입출력: 고정된 형태를 벗어난 자유로운 변환
이 세 기술을 이해하면 현대 AI의 핵심 개념들을 파악할 수 있으며, 자신만의 시퀀스 처리 모델을 설계할 때 어떤 접근법이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Share article

devleeka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