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카운터 변수가 필요한 일반적인 반복
💬 C/Java 스타일
for (int i = 0; i < 10; i++) {
System.out.println(i);
}
🐍 파이썬 대응
for i in range(10):
print(i)
range(10)
은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생성합니다.
i
는 반복 인덱스로 실제로 사용됩니다.
2. ✅ 카운터 변수가 필요 없는 단순 반복
💬 C/Java 스타일
for (int i = 0; i < 5; i++) {
doSomething();
}
🐍 파이썬 대응
for _ in range(5):
do_something()
i
값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파이썬에서는_
로 표기합니다.
_
는 “이 변수는 무시해도 된다”는 관례적인 표현입니다.
- 이렇게 하면 코드 가독성이 좋아지고, 협업 시 "이 변수는 안 쓴다"는 의도를 분명히 전달할 수 있습니다.
3. ✅ 리스트 순회
💬 C/Java 스타일
String[] fruits = {"apple", "banana", "cherry"};
for (String fruit : fruits) {
System.out.println(fruit);
}
🐍 파이썬 대응
fruits = ["apple", "banana", "cherry"]
for fruit in fruits:
print(fruit)
- 리스트나 튜플 등의 컬렉션을 순회할 때는 직접 값으로 반복합니다.
- 파이썬은 인덱스 없이도 자연스럽게 순회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4. ✅ 인덱스와 값을 같이 써야 할 때: enumerate()
💬 C/Java 스타일
for (int i = 0; i < arr.length; i++) {
System.out.println(i + ": " + arr[i]);
}
🐍 파이썬 대응
arr = ['a', 'b', 'c']
for i, value in enumerate(arr):
print(f"{i}: {value}")
enumerate()
는[(0, 'a'), (1, 'b'), (2, 'c')]
처럼 인덱스와 값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5. ✅ 역순 반복
💬 C/Java 스타일
for (int i = 10; i > 0; i--) {
System.out.println(i);
}
🐍 파이썬 대응
for i in range(10, 0, -1):
print(i)
range(start, stop, step)
의 step을 음수로 주면 감소 방향으로 반복됩니다.
🔍 _
를 쓰는 이유 다시 정리
- 파이썬에서
_
는 **“나는 이 값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자주 사용됩니다.
- 변수는 필요하지만 그 값을 신경 쓰지 않을 때
_
를 사용하면 코드가 더 깔끔하고 의도가 명확해집니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