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Bash 사용자 등록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이름 설정)
- git config —global user.email(이메일 설정)
- git config list (설정 확인)
1. Terminal 설정
- New terminal

- VScode 기준 Git Bash 선택
- Select Default Profile로 기본 터미널 실행 프로그램 설정이 가능합니다.
2. 로컬 저장소 생성 및 원격 저장소와 연결
- git init
- git clone 리포지토리 주소
- 현재 폴더에 새 폴더가 생기면서 repository 파일을 불러옵니다.
- 폴더로 이동해서 작업 시작하면 됩니다.
- 로컬 저장소 폴더를 생성합니다.
- git remote add origin 리포지토리 주소
- git pull origin master
3. 작업할 폴더에서 시작
- cd 폴더이름 → 폴더로 이동합니다.
- cd(Change Directory)
- cd .. → 상위 폴더로 이동
- git pull origin master
- 작업 시작 전에 항상 master 브랜치를 pull하고 시작합니다.
- git checkout -b join/topic(브랜치 이름)
- -b 가 있을 경우 해당 브랜치이름의 브랜치가 없을 경우 생성하고 브랜치를 변경(switch)합니다.
브랜치 이름 join/topic일 경우
- /topic → 컨벤션 규칙으로 주제를 의미합니다.
- join에 대한 기능을 만들 때 join/topic으로 브랜치를 만들면 됩니다.
- 작업을 시작해서 기능을 구현합니다.
- git add .
- git commit -m “[feat] join”
컨벤셔널 커밋(Conventional Commits)
[feat] → 새로운 기능 개발
[fix] → 버그 수정
- git checkout master
- git pull origin master
내가 만든 기능(브랜치)를 push하기 전에 항상 master를 최신 상태로 만들어 놔야 합니다.
pull 하고 Fast-forward 메세지가 떠야합니다.
- git checkout join/topic
- git rebase master
- 로컬 저장소에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서 rebase작업을 합니다.

- 충돌 발생 시 코드를 수정합니다.
- git add .
- git commit -m “충돌 해결”
- git rebase —continue
- git rebase —abort를 입력할 경우 rebase를 취소하고 원래 상태로 돌아갑니다.
- git push origin join/topic
- 깃 허브에서 Pull Request 를 생성합니다.
- base:master ← compare:join/topic 방향으로 create pull request합니다.
- 원격 저장소 master 브랜치 권한이 있는 사람이 검토하고 병합합니다.
4. 명령어
- git reflog
- rebase, merge 등 모든 기록이 남는 로그 확인
- git branch
- 현재 생성된 브랜치 이름 확인
- clear
- 터미널 텍스트 삭제
- git reset —hard b5e1
- 해당 커밋으로 하드리셋을 수행합니다.

5. rebase 명령어 관련
- git rebase -i HEAD~2
- HEAD(최신 커밋) 부터 총 2개의 커밋이 선택됩니다.

- i 를 누르면 INSERT 모드가 됩니다.
- 커밋 삭제를 위해 pick을 d로 바꿉니다.
- esc를 누르면 INSERT 모드가 해제됩니다.
- :wq 하면 vi 에디터가 종료됩니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