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Transformer: "Attention Is All You Need" - AI 혁명의 시작점왜 Transformer가 필요했을까?: RNN의 근본적 한계Attention 메커니즘: 선택적 집중의 혁신Transformer 아키텍처: 혁신적 설계의 완성Transformer의 혁신적 장점실제 구현에서의 핵심 기법들Transformer 생태계: 혁신의 확산성능 비교: Transformer vs 기존 모델실무에서의 Transformer 활용미래 전망: Transformer 이후의 세상결론: Transformer가 가져온 패러다임 변화Transformer: "Attention Is All You Need" - AI 혁명의 시작점
- 2017년, Google의 연구진이 발표한 "Attention Is All You Need" 논문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 지각변동을 일으켰습니다.
- RNN과 LSTM의 한계를 뛰어넘어 등장한 Transformer는 현재 GPT, BERT, ChatGPT의 기반이 되는 핵심 기술입니다.
- 순환 구조를 완전히 버리고 오직 Attention 메커니즘만으로 어떻게 더 나은 성능을 달성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왜 Transformer가 필요했을까?: RNN의 근본적 한계
순차 처리의 병목 현상
RNN과 LSTM의 가장 큰 문제는 순차적 처리였습니다:
RNN/LSTM의 처리 방식:
시간 1: "나는" 처리
시간 2: "나는" + "오늘" 처리
시간 3: "나는" + "오늘" + "학교에" 처리
...
이런 방식은 세 가지 치명적인 한계를 가집니다:
- 병렬 처리 불가능: GPU의 병렬 연산 능력을 활용할 수 없음
- 장거리 의존성: 문장이 길어질수록 초기 정보가 희석됨
- 느린 학습 속도: 순차적 처리로 인한 시간 소요
Seq2Seq의 정보 병목
Seq2Seq 모델에서 모든 입력 정보를 하나의 Context Vector에 압축하는 것은 정보 손실을 야기했습니다:
긴 문서 → [고정 크기 벡터] → 번역문
↑
정보 병목!
Attention 메커니즘: 선택적 집중의 혁신
Attention의 핵심 아이디어
인간이 문서를 읽을 때를 생각해보세요. 전체 내용을 동시에 보지만, 특정 부분에 더 집중합니다. Attention 메커니즘은 바로 이 선택적 집중 능력을 모델에 부여합니다.
Attention의 작동 원리
Attention은 세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됩니다:
1. Query (질의): "무엇을 찾고 있는가?"
- 현재 처리하려는 토큰
- "나는 학교에 간다"에서 "학교에"를 처리할 때의 Query
2. Key (키): "어떤 정보들이 있는가?"
- 모든 입력 토큰들의 표현
- ["나는", "학교에", "간다"]의 각 토큰 표현
3. Value (값): "실제 정보는 무엇인가?"
- Key에 대응하는 실제 정보
- 각 토큰의 의미적 내용
Attention Score 계산 과정
1. 유사도 계산: Query와 각 Key 간의 관련성 측정
Attention Score = Query · Key^T
2. 정규화: Softmax로 확률 분포 생성
Attention Weight = Softmax(Score / √d_k)
3. 가중합: Weight를 적용하여 Value들을 결합
Output = Σ(Weight_i × Value_i)
Self-Attention: 자기 자신과의 대화
Transformer의 핵심은 Self-Attention입니다. 문장의 각 단어가 같은 문장의 다른 모든 단어들과 관계를 계산합니다:
입력: "The cat sat on the mat"
"cat"이 주목하는 단어들:
- "The" (0.1): 관사, 낮은 관련성
- "cat" (0.3): 자기 자신, 중간 관련성
- "sat" (0.4): 주요 동사, 높은 관련성
- "on" (0.1): 전치사, 낮은 관련성
- "the" (0.05): 관사, 낮은 관련성
- "mat" (0.05): 목적어, 낮은 관련성
Transformer 아키텍처: 혁신적 설계의 완성
전체 구조 개요
Transformer는 Encoder-Decoder 구조를 유지하되, RNN을 완전히 제거하고 Attention만 사용합니다:
Transformer = Multi-Head Attention + Feed-Forward + 정규화 + 잔차 연결
Encoder 구조 분석
1. Multi-Head Attention
단일 Attention 대신 여러 개의 Attention Head를 병렬로 사용:
Head 1: 문법적 관계에 집중 (주어-동사)
Head 2: 의미적 관계에 집중 (단어-동의어)
Head 3: 위치적 관계에 집중 (인접한 단어들)
...
Head 8: 다양한 패턴 포착
각 Head가 서로 다른 관점에서 문장을 이해하므로 더 풍부한 표현이 가능합니다.
2. Position Encoding
RNN 없이는 단어의 순서 정보가 사라집니다. Transformer는 Positional Encoding으로 이를 해결:
단어 임베딩 + 위치 임베딩 = 최종 입력
"나는 학교에 간다"
나는: [단어벡터] + [위치1벡터]
학교에: [단어벡터] + [위치2벡터]
간다: [단어벡터] + [위치3벡터]
3. Feed-Forward Network
각 위치에서 독립적으로 적용되는 완전연결층:
FFN(x) = max(0, xW₁ + b₁)W₂ + b₂
4. 잔차 연결 (Residual Connection)
깊은 네트워크에서도 안정적인 학습을 위한 skip connection:
출력 = LayerNorm(입력 + Sublayer(입력))
Decoder 구조의 특별함
Decoder는 Encoder와 유사하지만 Masked Self-Attention을 사용합니다:
일반 Self-Attention: 모든 위치를 참조 가능
Masked Self-Attention: 미래 위치는 마스킹 (가림)
번역 예시:
"How are you?" → "어떻게 지내세요?"
"어떻게" 생성 시: "How", "are", "you"만 참조
"지내세요" 생성 시: "How", "are", "you", "어떻게"만 참조
Transformer의 혁신적 장점
1. 병렬 처리의 혁명
RNN/LSTM: 순차 처리 (직렬)
T₁ → T₂ → T₃ → T₄ → ...
Transformer: 병렬 처리
T₁ ↘
T₂ → [Self-Attention] → 동시 처리
T₃ ↗
T₄ ↗
결과:
- 학습 시간 10-100배 단축
- GPU 활용률 극대화
- 긴 시퀀스 처리 가능
2. 장거리 의존성 완벽 해결
RNN에서는 "The cat, which was sitting in the corner of the room where sunlight was streaming through the large window, was sleeping"에서 "cat"과 "was" 연결이 어려웠습니다.
Transformer는 직접 연결로 이 문제를 해결:
"cat" ←→ "was" (직접적 Attention 연결)
거리에 관계없이 O(1) 복잡도로 접근
3. 해석 가능성 향상
Attention Weight를 시각화하여 모델의 판단 근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번역: "I love you" → "나는 너를 사랑해"
Attention Map:
나는 ← I (0.9), love (0.1)
너를 ← you (0.8), I (0.1), love (0.1)
사랑해 ← love (0.9), I (0.05), you (0.05)
실제 구현에서의 핵심 기법들
1. Scaled Dot-Product Attention
def scaled_dot_product_attention(Q, K, V, mask=None):
# Q, K, V: [batch_size, seq_len, d_model]
d_k = K.size(-1)
# 1. Query와 Key의 내적
scores = torch.matmul(Q, K.transpose(-2, -1)) / math.sqrt(d_k)
# 2. 마스킹 (필요시)
if mask is not None:
scores = scores.masked_fill(mask == 0, -1e9)
# 3. Softmax로 정규화
attention_weights = F.softmax(scores, dim=-1)
# 4. Value와 가중합
output = torch.matmul(attention_weights, V)
return output, attention_weights
2. Multi-Head Attention의 구현 철학
class MultiHeadAttention(nn.Module):
def __init__(self, d_model, num_heads):
super().__init__()
self.num_heads = num_heads
self.d_k = d_model // num_heads
# 각 헤드별로 별도의 가중치 행렬
self.W_q = nn.Linear(d_model, d_model)
self.W_k = nn.Linear(d_model, d_model)
self.W_v = nn.Linear(d_model, d_model)
self.W_o = nn.Linear(d_model, d_model)
def forward(self, query, key, value, mask=None):
batch_size = query.size(0)
# 1. 선형 변환 후 헤드별로 분할
Q = self.W_q(query).view(batch_size, -1, self.num_heads, self.d_k).transpose(1,2)
K = self.W_k(key).view(batch_size, -1, self.num_heads, self.d_k).transpose(1,2)
V = self.W_v(value).view(batch_size, -1, self.num_heads, self.d_k).transpose(1,2)
# 2. 각 헤드에서 Attention 계산
attention_output, attention_weights = scaled_dot_product_attention(Q, K, V, mask)
# 3. 헤드들을 연결
concat_attention = attention_output.transpose(1,2).contiguous().view(
batch_size, -1, self.num_heads * self.d_k)
# 4. 최종 선형 변환
output = self.W_o(concat_attention)
return output
3. 위치 인코딩의 수학적 기반
def positional_encoding(seq_len, d_model):
pe = torch.zeros(seq_len, d_model)
position = torch.arange(0, seq_len).unsqueeze(1).float()
# 주파수 계산
div_term = torch.exp(torch.arange(0, d_model, 2).float() *
-(math.log(10000.0) / d_model))
# sin/cos 함수로 위치 정보 인코딩
pe[:, 0::2] = torch.sin(position * div_term) # 짝수 차원
pe[:, 1::2] = torch.cos(position * div_term) # 홀수 차원
return pe
이 방식의 장점:
- 고유한 위치 표현 (각 위치마다 다른 패턴)
- 상대적 위치 관계 학습 가능
- 학습 데이터보다 긴 시퀀스에도 적용 가능
Transformer 생태계: 혁신의 확산
1. BERT (2018): 양방향 이해의 혁명
핵심 아이디어: Masked Language Model
입력: "나는 [MASK] 학교에 간다"
목표: [MASK] = "오늘"
혁신점:
- 양방향 문맥 이해
- Transfer Learning의 대중화
- Fine-tuning 패러다임 확립
2. GPT 시리즈: 생성의 마법
GPT-1 (2018): Transformer Decoder만 사용
Unsupervised Pre-training → Supervised Fine-tuning
GPT-3 (2020): 스케일링의 힘
- 1750억 개 매개변수
- Few-shot Learning 능력
- 범용 AI의 가능성 제시
ChatGPT/GPT-4: 대화와 추론
- RLHF (인간 피드백 강화학습)
- Chain-of-Thought 추론
- Multimodal 능력
3. T5 (Text-to-Text Transfer Transformer)
통합 패러다임: 모든 작업을 텍스트 생성으로
번역: "translate English to German: Hello" → "Hallo"
요약: "summarize: [긴 텍스트]" → "[요약문]"
분류: "classify sentiment: I love this" → "positive"
성능 비교: Transformer vs 기존 모델
기계 번역 성능 (BLEU Score)
모델 | EN→DE | EN→FR | 매개변수 |
LSTM Seq2Seq | 24.9 | 35.6 | 213M |
ConvS2S | 25.2 | 37.8 | 213M |
Transformer | 28.4 | 41.8 | 65M |
학습 시간 비교
LSTM (1개 GPU): 100시간
Transformer (8개 GPU): 12시간 (실제로는 8배 빠름)
추론 속도
LSTM: 순차 처리 (배치 크기 제한)
Transformer: 병렬 처리 (대용량 배치 가능)
→ 실제 서비스에서 10-50배 빠른 응답
실무에서의 Transformer 활용
1. 산업별 적용 사례
검색 엔진
- Google Search: BERT로 검색 의도 이해 향상
- Bing: GPT 기반 대화형 검색
콘텐츠 생성
- GitHub Copilot: 코드 자동 완성
- Jasper: 마케팅 콘텐츠 생성
- Midjourney: 텍스트→이미지 생성
고객 서비스
- ChatGPT: 범용 대화 AI
- Claude: 안전한 AI 어시스턴트
- Bard: Google의 대화형 AI
2. 기업 내부 활용
문서 처리
# 계약서 분석 예시
contract_text = "계약 조건: 납기일은 2024년 3월 15일..."
key_info = transformer_model.extract_key_terms(contract_text)
# 출력: {"납기일": "2024년 3월 15일", "계약금액": "1억원", ...}
고객 피드백 분석
reviews = ["상품이 정말 좋아요!", "배송이 너무 늦어요", ...]
sentiment_analysis = transformer_model.analyze_sentiment(reviews)
# 출력: [0.9, -0.7, ...] (긍정/부정 점수)
미래 전망: Transformer 이후의 세상
1. 멀티모달 AI
Vision Transformer (ViT): 이미지를 패치로 나누어 처리
이미지 → 16x16 패치들 → Transformer → 분류 결과
DALL-E 2/Midjourney: 텍스트→이미지 생성
"해변에서 일몰을 보는 고양이" → [생성된 이미지]
2. 코드 생성과 프로그래밍
GitHub Copilot:
# 주석만 작성하면
# 피보나치 수열을 계산하는 함수
# AI가 자동으로 코드 생성
def fibonacci(n):
if n <= 1:
return n
return fibonacci(n-1) + fibonacci(n-2)
3. 과학 연구 가속화
AlphaFold: 단백질 구조 예측
GPT-4 Code Interpreter: 데이터 분석 자동화
ChatGPT Research: 논문 작성 지원
4. 개인화된 AI 어시스턴트
개인 데이터 학습 → 맞춤형 응답
"내 일정 기반으로 최적의 운동 시간 추천해줘"
"내 이메일 스타일로 고객에게 답장 초안 작성해줘"
결론: Transformer가 가져온 패러다임 변화
기술적 혁신
- 순차 처리 → 병렬 처리: 학습 시간의 혁명적 단축
- 고정 길이 → 가변 길이: 유연한 입출력 처리
- 단방향 → 양방향: 풍부한 문맥 이해
- 단일 작업 → 멀티 작업: 범용 AI 모델의 기반
산업적 영향
- 검색: 의도 기반 검색으로 진화
- 콘텐츠: 자동 생성의 대중화
- 소프트웨어: AI 페어 프로그래밍
- 교육: 개인화된 튜터링
사회적 변화
- 접근성: 전문 지식의 민주화
- 생산성: 창의적 작업의 자동화
- 소통: 언어 장벽의 해소
- 학습: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 Transformer는 단순한 기술적 진보를 넘어 인공지능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었습니다.
- "Attention Is All You Need"라는 제목처럼, 올바른 주의 집중 메커니즘만으로도 놀라운 성능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는 현재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AI 혁명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 앞으로도 Transformer 아키텍처는 계속 진화하며, 더욱 효율적이고 강력한 AI 시스템들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
- 중요한 것은 이 기술을 어떻게 현명하게 활용하여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느냐 하는 것입니다.
Share article